티스토리 뷰
3.1 시스템의 시작(Login)과 종료(Logout)
UNIX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기 때문에 DOS나 WONDOWS와 같은 일인 사용자 시스템과 달리 Login이라는 과정을 통과해야만 시작할 수 있고, Logout 과정을 거쳐 종료해야 한다.
3.1.1 UNIX 시작하기(login)
Digital UNIX (dbs.ehwadia.co.kr) (ttyq8)
login: lkh ................................................................................. ①
Password: .................................................................................. ②
login incorrect ............................................................................ ③
login: lkh ................................................................................. ①
Password: .................................................................................. ②
Last login: Thu Nov 5 20:11:32 from 이경호 ................................................. ④
Digital UNIX V4.0B (Rev. 564); Wed May 7 15:30:05 KST 1997 ................................. ⑤
Digital UNIX Korean Support V4.0A (rev. 3.1) ......................................... ⑤
. . . . . . . . . . . . . . . . . . ............................................... ⑤
DBS:/home/users/lkh{19} .................................................................... ⑥
: ①번에 자신의 계정(username)을 입력한다.
②번에 자신의 비밀번호(password)를 입력한다.
③번은 입력한 계정과 비밀번호가 틀림을 나타내고 다시 입력을 요구한다.
④번은 계정과 비밀번호가 일치하여 Login이 성공한 상태로 해당 계정의 마지막 Login일자와
Login한 터미널을 보여준다.
⑤번은 관리자가 Login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보여준다.
⑥번은 프롬프트 상태이다.
3.1.2 UNIX 종료하기(logout)
DBS:/home/users/lkh{19} logout
Digital UNIX (dbs.ehwadia.co.kr) (ttyq8)
login:
: 프롬프트 상태에서 'logout' 또는 'exit' 라고 명령을 내린다.
3.2 기본 명령어 설명
♧ password 바꾸기(passwd) DBS:/home/users/lkh{24} passwd
Changing password for lkh.
Old password: : 기존 password 입력
New password: : 변경 password 입력
Retype new password: : 변경 password 확인 입력
Mismatch - password unchanged.
DBS:/home/users/lkh{25}
----- 비밀번호(Password) 변경 실패 -----
DBS:/home/users/lkh{24} passwd
Changing password for lkh.
Old password: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DBS:/home/users/lkh{25}
----- 비밀번호(Password) 변경 성공 -----
DBS:/home/users/lkh{25} passwd
Changing password for lkh.
Old password:
Sorry.
DBS:/home/users/lkh{26}
----- 기존(Old) 비밀번호가 틀림 -----
♧ 나는 누구인가?(whoami, who am i) DBS:/home/users/lkh{27} whoami (현재 Login한 계정)
lkh
DBS:/home/users/lkh{28} who am I (현재 Login한 계정, 터미널과 시간)
lkh ttyq5 Mar 15 09:10
DBS:/home/users/lkh{29}
♧ 현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 보기(w, who, users) DBS:/home/users/lkh{29} w (현재 시스템을 사용중인 모든 사용자의 작업정보)
09:31 up 4 days, 1:34, 33 users, load average: 0.00, 0.03, 0.05
User tty from login@ idle JCPU PCPU what
1111 p3 SAW레이저 21:26 2days -csh
3331 p4 Sr사상-마킹 07:55 6 /home/informix/product/prod_3331d.4ge
lkh q5 이경호 09:10 3 w
. . .
DBS:/home/users/lkh{30} who (현재 시스템을 사용중인 사용자의 login 정보)
1111 ttyp3 Mar 13 21:26
3331 ttyp4 Mar 15 07:55
lkh ttyq5 Mar 15 09:10
. . .
DBS:/home/users/lkh{31} users (현재 시스템을 사용중인 사용자의 계정 정보)
1111 3331 lkh ....
DBS:/home/users/lkh{32}
♧ 현재 시스템의 시간과 날짜 확인(time, date) DBS:/home/users/lkh{32} time (명령 해석기 자체가 사용한 사용자시간, 시스템시간 CPU시간 등 표시)
0.14u 0.22s 28:45 0% 0+1k 44+45io 6pf+0w
DBS:/home/users/lkh{33} date (현재의 날짜와 시간)
Mon Mar 15 09:39:27 KST 1999
DBS:/home/users/lkh{34}
♧ 달력보기(cal) DBS:/home/users/lkh{36} cal (현재 년월의 달력)
March 1999
Sun Mon Tue Wed Thu Fri Sa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DBS:/home/users/lkh{37}
: 다른 사용 방법 - cal 1999 (1999년 달력)
cal 12 1999 (1999년 12월 달력)
♧ 자신이 사용중인 시스템 환경보기(env) DBS:/home/users/lkh{45} env
TERM=vt100
GWSOURCE=telnet
HOME=/home/users/lkh
SHELL=/bin/csh
USER=lkh
LOGNAME=lkh
PATH=/home/informix/bin:.:/home/users/lkh/bin:/usr/bin/X11:/usr/bin:/usr/sbin:/sbin:/usr/bin/X11/demos:/u
sr/dt/bin:/usr/bin/X11/game:/usr/local/bin
SHLVL=1
I18NPATH=/usr/i18n
INFORMIXSERVER=online
INFORMIXDIR=/home/informix
TERMCAP=/home/informix/etc/termcap
INFORMIXTERM=termcap
DB_LOCALE=ko_kr.ksc
CLIENT_LOCALE=ko_kr.ksc
SERVER_LOCALE=ko_kr.ksc
LC_CTYPE=en_US.ISO8859-1
DBLANG=en_us/0333
MAIL=/usr/spool/mail/lkh
CDPATH=.:..:/home/users/lkh
DBS:/home/users/lkh{46}
♧ 현재의 디렉토리 위치 보기(pwd) DBS:/home/users/lkh{47} pwd
/home/users/lkh
DBS:/home/users/lkh{48}
♧ 계산기의 사용(bc, dc) DBS:/home/users/lkh{41} bc (일반적인 산술계산:중위표기법)
12*3+5/4+35
72
quit
DBS:/home/users/lkh{42} dc (Stack을 이용한 산술계산:후위표기법)
16 4 + p
20
quit
DBS:/home/users/lkh{45}
♧ 파일 및 디렉토리 목록 보기(ls)
사용법 : ls [-aAbcCdfFgilLmnopqrRstux1]
a : 숨겨진 파일보기
l : 파일의 자세한 정보보기
F : 파일의 종류보기
R : 현재 디렉토리 이하의 모든 디렉토리의 내용보기
s : 파일과 디렉토리 크기보기(Kbyte단위, 자동 올림)
t : 최근 사용한 순서로 보기
여러개의 옵션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DBS:/home/users/lkh{64} ls
Informix hanterm.nzfonts.tar.gz hanterm304beta6p1.tar.gz ls-al
bin hanterm304beta6.tar.gz hanterm304fonts.tar.gz product
DBS:/home/users/lkh{65} ls -l
total 4716
drwxr-x--- 3 lkh users 512 May 13 1997 Informix
drwxr-xr-x 2 lkh users 512 May 10 1997 bin
-rwxr--r-- 1 informix informix 875620 Feb 4 1998 hanterm.nzfonts.tar.gz
-rw-r--r-- 1 root system 2613810 Nov 4 13:19 ls-al
drwxr-xr-x 2 root users 1536 Jul 24 1998 product
DBS:/home/users/lkh{66} ls -alF
total 4733
drwx------ 8 lkh users 512 Nov 5 20:19 ./
drwxr-xr-x 11 root users 512 Sep 21 16:29 ../
-rwxr-xr-x 1 lkh users 1284 Mar 15 10:06 .cshrc*
rwx------ 1 lkh users 432 Mar 15 10:06 .history*
-rwxr-xr-x 1 lkh users 69 Feb 25 1998 .login*
drwx------ 4 lkh users 512 May 10 1997 .netscape/
-rwxr-xr-x 1 lkh users 1606 May 9 1997 .profile*
-rw-r----- 1 lkh users 2 May 9 1997 .rhosts
drwxr-xr-x 2 lkh users 512 May 10 1997 .sysman/
drwxr-x--- 3 lkh users 512 May 13 1997 Informix/
drwxr-xr-x 2 lkh users 512 May 10 1997 bin/
-rwxr--r-- 1 informix informix 875620 Feb 4 1998 hanterm.nzfonts.tar.gz*
DBS:/home/users/lkh{68} ls -l [a-z]* : 파일의 이름이 소문자 'a'에서 'z'로 시작하는 파일들
♧ 빈 파일 만들기(touch) DBS:/home/users/lkh{68} touch aaa : 'aaa'라는 새로운 파일이 만들어짐
DBS:/home/users/lkh{69}
♧ 디렉토리 이동하기(cd) DBS:/home/users/lkh{54} cd product
DBS:/home/users/lkh/product{55} cd ..
DBS:/home/users/lkh{56} cd ./product
DBS:/home/users/lkh/product{57} cd /home/users/lkh
DBS:/home/users/lkh{58} cd ./../lkh/product
DBS:/home/users/lkh/product{59} cd : 뒤에 아루런 경로가 없으면 home directory로 이동
DBS:/home/users/lkh{60}
♧ 현재 위치 및 하위 디렉토리의 크기 보기(du) DBS:/home/users/lkh{70} du (디렉토리 각각, block(512byte)단위)
2 ./bin
2 ./.dt/types/fp_dynamic
4 ./.dt/types
2 ./.dt/icons
2 ./.dt/appmanager
44 ./.dt/help/lkh-ehwa102-0
46 ./.dt/help
16 ./.dt/sessions/current
16 ./.dt/sessions/current.old
36 ./.dt/sessions
2 ./.dt/tmp
2 ./.dt/Trash
2 ./.dt/Desktop
114 ./.dt
2 ./.sysman
2 ./.netscape/plugins
2 ./.netscape/cache
210 ./.netscape
2 ./Informix/dbaccess
4 ./Informix
788 ./product
10570 .
DBS:/home/users/lkh{71} du -s (합계, block(512byte)단위)
10570 .
DBS:/home/users/lkh{72}
추가설명 : '-k'옵션을 추가하면 kilobyte(1024byte)단위로 출력
'-a'옵션을 주면 디렉토리 및 파일까지 출력('-a'와 '-s'를 같이 사용할 수 랴다.)
♧ 각 디스크의 크기, 사용한 크기 및 남은 크기 보기(df) DBS:/home/users/lkh{78} df
Filesystem 512-blocks Used Available Capacity Mounted on
/dev/rz0a 253278 141504 86446 63% /
/proc 0 0 0 100% /proc
/dev/rz0g 2033086 1133838 695938 62% /usr
/dev/rz0h 5074666 3334734 1232464 74% /home
DBS:/home/users/lkh{79} df -k
Filesystem 1024-blocks Used Available Capacity Mounted on
/dev/rz0a 126639 70752 43223 63% /
/proc 0 0 0 100% /proc
/dev/rz0g 1016543 566919 347969 62% /usr
/dev/rz0h 2537333 1667367 616232 74% /home
DBS:/home/users/lkh{80}
♧ 비밀 파일 만들기(crypt) DBS:/home/users/lkh{98} more aaa
lkh
Lee Kyung Ho
Ehwadiamont
1234567890
DBS:/home/users/lkh{99} crypt < aaa > aaa.lock ----------- ①
Enter key: ----------- ②
DBS:/home/users/lkh{100} more aaa.lock
섶?[?E^襁9???驅??^쫍^旦콤VU짤?待??R^?wL
DBS:/home/users/lkh{102} rm aaa
rm: remove aaa? y
DBS:/home/users/lkh{103} crypt abcd < aaa.lock > aaa -------- ③
DBS:/home/users/lkh{104} more aaa
lkh
Lee Kyung Ho
Ehwadiamont
1234567890
DBS:/home/users/lkh{105}
: ①,②번은 비밀 파일 만드는 과정으로 ①번의 'crypt'명령어 다음에 Key를 입력하지 않아
②번에서 Key 입력을 요구한다.
③번은 다시 일반 파일로 만드는 과정으로 'crypt'명령어 다음에 바로 Key를 입력하였다.
♧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 변경(chmod)
: 기초 설명
- 각 파일의 맨 앞에 있는 10자리중 첫 번째는 파일의 종류, 다음 세자리는 User(Owner),
그 다음 세자리는 Group, 마지막 세자리는 All Others의 작업 권한을 나타낸다.
- r:Read(r--), w:Write(-w-), x:Execute(--x), -:해당 권한 없음.
DBS:/home/users/lkh{105} ls -al aaa
-rw-r----- 1 lkh users 40 Mar 15 10:49 aaa
DBS:/home/users/lkh{106} chmod 744 aaa
DBS:/home/users/lkh{107} ls -al aaa
-rwxr--r-- 1 lkh users 40 Mar 15 10:49 aaa
DBS:/home/users/lkh{108} chmod g+w o-r aaa :g+w와 o-r사이에 구분자(,)가 없음
chmod: o-r: No such file or directory
DBS:/home/users/lkh{109} chmod g+w,o-r+x aaa
DBS:/home/users/lkh{110} ls -al aaa
-rwxrw---x 1 lkh users 40 Mar 15 10:49 aaa
DBS:/home/users/lkh{111} chmod R 777 test1 : 하위 디렉토릭까지 모두 변경
♧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자 변경(chown) DBS:/home/users/lkh{125} ls -al aaa
-rwxrw---x 1 lkh users 40 Mar 15 10:49 aaa
DBS:/home/users/lkh{126} chown khlee aaa
DBS:/home/users/lkh{127} ls -al aaa
-rwxrw---x 1 khlee users 40 Mar 15 10:49 aaa
DBS:/home/users/lkh{128} chown R khlee test : 하위 디렉토릭까지 모두 변경
DBS:/home/users/lkh{128} chown khlee:users test : 소유자와 그룹을 동시에 변경
: 파일 소유자만이 변경할수 있으며, 변경후에는 다시 변경할 수 없다.
(이미 소유자가 바뀌었으므로, 변경된 소유자로 login하여 다시 변경해야 한다.)
♧ 파일 및 디렉토리의 그룹 변경(chgrp) DBS:/home/users/lkh{128} ls -al aaa
-rwxrw---x 1 lkh users 40 Mar 15 10:49 aaa
DBS:/home/users/lkh{129} chgrp user1 aaa
DBS:/home/users/lkh{130} ls -al aaa
-rwxrw---x 1 lkh user1 40 Mar 15 10:49 aaa
DBS:/home/users/lkh{131}
: 일반 유저가 그룹을 변경하기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UNIX사용자가 오직
하나의 그룹에만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 파일 및 디렉토리의 허가설정에 기본값 지정하기(umask) DBS:/home/users/lkh{124} umask 027
: 자신이 원하는 허가설정의 반대값으로 설정한다.
예를들면 740(-rwxr-----)으로 만들기 원하면 umask 값을 037로 하면 된다.
umask 값은 '.cshrc'나 '.profile'에 넣어두고 login될 때 자동 설정하게 만들어 두자.
♧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mkdir) DBS:/home/users/lkh{131} mkdir test1
♧ 빈 디렉토리 삭제(rmdir) DBS:/home/users/lkh{132} rmdir test1
: 'rmdir' 명령으로 디렉토리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디렉토리가 비어있어야 한다.
♧ 파일의 복사(cp) DBS:/home/users/lkh{133} cp aaa bbb (파일복사)
DBS:/home/users/lkh{133} cp -R aaa bbb (디렉토리복사)
: '-r'이나 '-R'옵션을 주어 디렉토리도 복사가 가능하다.
♧ 파일 이동 및 파일명 변경(mv) DBS:/home/users/lkh{133} mv aaa bbb (파일명 변경)
DBS:/home/users/lkh{133} mv aaa ./test/bbb (파일명을 변경하며 이동)
DBS:/home/users/lkh{133} mv test test1 (디렉토리명 변경)
: 'cp' 명령과 마찬가지로 디렉토리도 이동 및 이름 변경을 할 수 있다.
♧ 파일 및 디렉토리의 삭제(rm) DBS:/home/users/lkh{133} rm aaa
DBS:/home/users/lkh{133} rm -i aaa
DBS:/home/users/lkh{133} rm -R test
: 옵션 설명
- i : 삭제여부를 물어본다.
- r, R : 해당 디렉토리까지 삭제 (디렉토리내에 파일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삭제)
- f : write 권한에 상관없이 삭제(write권한이 없는 파일을 삭제시 삭제여부를 물어봄)
♧ 파일종류 확인(file) DBS:/home/users/lkh{101} file aaa
aaa: commands text
DBS:/home/users/lkh{102} file .cshrc product
.cshrc: commands text
product: directory
DBS:/home/users/lkh{103}
♧ 파일 머리부분 보기(head) DBS:/home/users/lkh{106} head -5 .cshrc (라인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10라인을 보여줌)
#
umask 027
stty erase ^H
#
set path=(. $HOME/bin /usr/bin/X11 /usr/bin /usr/sbin /sbin /usr/bin/X11/demos /usr/dt/bin /usr/bin/X11/game /usr/local/bin)
DBS:/home/users/lkh{107}
♧ 파일 꼬리부분 보기(tail) DBS:/home/users/lkh{107} tail -5 .cshrc (라인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10라인을 보여줌)
alias rm 'rm -i'
alias rrm '/usr/bin/rm'
alias src 'source .cshrc .login'
#
#
DBS:/home/users/lkh{108}
♧ 전체 파일 내용 보기(cat, more, page) DBS:/home/users/lkh{108} cat .cshrc
DBS:/home/users/lkh{108} more .cshrc
DBS:/home/users/lkh{108} page .cshrc
: 추가설명
- 'cat' 명령어는 한페이지 이내의 파일을 볼 때 사용
- 'more' 명령어는 페이지 단위로 보여준다.
* 'more' 명령에서 사용가능한 기능
[Space] : 다음 페이지 출력
N[Enter] : 다음의 N라인 출력(디폴트시 다음 한 라인 출력)
h : 도움말
d : 반 페이지 아래로 이동
q : 종료
Ns : N라인 앞으로 건너뜀(디폴트는 1라인)
Nf : N화면 앞으로 건너뜀(디폴트는 1화면)
b or Ctrl-B : 한 화면 뒤로 건너뜀
= : 현재 라인 번호 출력
/pattern : 패턴 발생 장소 탐색
n : 현재 패턴에서 다음 발생 장소 탐색
v : 현재 라인에서 vi 편집기 시작
:f : 현재 파일명 및 라인번호 출력
- 'page' 명령어는 'more' 명령과 비슷하나 역방향 탐색이 가능
* 'page' 명령에서 사용가능한 기능
N : N개 화면을 건너뜀
Nl : N개 라인 아래로 이동
Ctrl-D : 반 페이지 아래로 이동
h : 도움말
q : 종료
/pattern : 앞 부분의 패턴 검색
?pattern : 이전 부분으로의 패턴 검색
/ : 다음 패턴 발생 장소 검색
? : 이전 패턴 발생 장소 검색
v : 현재 라인에서 vi 편집기 시작
. : 현재 화면 재출력
$ : 이전 화면 출력
♧ 파일의 중복된 내용 삭제(uniq) DBS:/home/users/lkh{66} more aaa
lkh
Lee Kyung Ho
Lee Kyung Ho
Lee Kyung Ho
Ehwadiamont
1234567890
DBS:/home/users/lkh{67} uniq -c aaa : 각 라인이 얼마나 반복되는지 수치로 알려줌
1 lkh
3 Lee Kyung Ho
1 Ehwadiamont
1 1234567890
DBS:/home/users/lkh{68} uniq -u aaa : 반복되지 않는 라인만 출력
lkh
Ehwadiamont
1234567890
DBS:/home/users/lkh{69} uniq -d aaa : 반복되는 라인만 출력
Lee Kyung Ho
DBS:/home/users/lkh{70} uniq aaa : 반복되는 라인은 한번만 출력
lkh
Lee Kyung Ho
Ehwadiamont
1234567890
DBS:/home/users/lkh{71} uniq aaa > uniq_aaa : 반복되는 라인은 한번만 출력해서 새로운 파일로 생성
♧ 파일의 라인, 단어, 문자수 보기(wc) DBS:/home/users/lkh{53} more aaa
lkh
Lee Kyung Ho
Ehwadiamont
1234567890
DBS:/home/users/lkh{54} wc aaa
4 6 40 aaa : 라인-4, 단어-6, 문자수-40, 파일명-aaa
: -l, -c, -w
DBS:/home/users/lkh{55}
♧ 파일의 정렬(sort) DBS:/home/users/lkh{77} sort aaa : 알파벳 순으로 정렬
1234567890
Ehwadiamont
Lee Kyung Ho
Lee Kyung Ho
Lee Kyung Ho
lkh
DBS:/home/users/lkh{78} sort -r aaa : 역순으로 정렬
lkh
Lee Kyung Ho
Lee Kyung Ho
Lee Kyung Ho
Ehwadiamont
1234567890
DBS:/home/users/lkh{79}
♧ 특정 문자열 찾기(grep) DBS:/home/users/lkh{85} grep Lee aaa
Lee Kyung Ho
Lee Kyung Ho
Lee Kyung Ho
DBS:/home/users/lkh{86} more aaa | grep Ho
Lee Kyung Ho
Lee Kyung Ho
Lee Kyung Ho
DBS:/home/users/lkh{87} ps -ef | grep lkh
lkh 3023 9203 0.0 17:11:17 ttypf 0:00.01 grep lkh
lkh 9203 9014 0.0 16:44:21 ttypf 0:00.27 -csh (csh)
DBS:/home/users/lkh{88}
♧ 화면으로 보면서 파일로 저장하기(tee) DBS:/home/users/lkh{88} ps -ef | tee ps
: 'ps -ef' 명령어에 대한 결과를 화면으로 출력하면서 'ps'라는 파일로 생성
♧ 실행중인 작업(프로세서) 정보 보기(ps)
사용법 :
Current [XPG4-UNIX] Syntax
ps [-aAdejflm] [-o specifier][=header],...
[-O specifier][=header],... [-g glist] [-G glist] [-p plist]
[-s slist] [-t tlist] [-u ulist] [-U ulist] [-n nlist]
BSD Compatible Syntax
ps [aAeghjlLmsSTuvwx] [o specifier][=header],...
[O specifier][=header],... [t tty] [process_number]
DBS:/home/users/lkh{103} ps
PID TTY S TIME CMD
9203 ttypf S 0:00.35 -csh (csh)
DBS:/home/users/lkh{104} ps -f
UID PID PPID C STIME TTY TIME CMD
lkh 9203 9014 0.1 16:44:21 ttypf 0:00.36 -csh (csh)
DBS:/home/users/lkh{105} ps u
USER PID %CPU %MEM VSZ RSS TTY S STARTED TIME COMMAND
lkh 9203 0.0 0.0 1.94M 256K ttypf S 16:44:21 0:00.36 -csh (csh)
DBS:/home/users/lkh{106}
: 추가 설명
UID : User ID
PID : Process ID, PPID : Parent Process ID
S : Process 상태값 ( R:실행중, S:휴지상태(20초이내), I:유휴상태(20초이상의 휴지상태,
T:정지, Z:좀비(Zombie) Process )
TTY : 작업 Terminal
TIME : Process 활성 시간
CMD : Command
♧ 쉘(Shell)의 변경(chsh) DBS:/home/users/lkh{108} chsh
Old shell: /bin/csh : 변경전 쉘(Shell), 자동 Display
New shell: /bin/ksh : 변경하고자 하는 쉘(Shell)
DBS:/home/users/lkh{109}
♧ 터미널과 관련된 특정한 구성 옵션 변경(stty) DBS:/home/users/lkh{110} stty
#2 disc;speed 9600 baud; -parity hupcl
brkint -inpck -istrip icrnl -ixany onlcr
echo echoe echok
DBS:/home/users/lkh{111} stty -a
#2 disc;speed 9600 baud; 30 rows; 105 columns
erase = ^H; werase = ^W; kill = ^U; intr = ^C; quit = ^\; susp = ^Z
dsusp = ^Y; eof = ^D; eol = <undef>; eol2 = <undef>; stop = ^S
start = ^Q; lnext = ^V; discard = ^O; reprint = ^R; status = <undef>
time = 0; min = 1
-parenb -parodd cs8 -cstopb hupcl cread -clocal -crtscts
-ignbrk brkint -ignpar -parmrk -inpck -istrip -inlcr -igncr icrnl -iuclc
ixon -ixany -ixoff imaxbel
isig icanon -xcase echo echoe echok -echonl -noflsh -mdmbuf -nohang
-tostop echoctl -echoprt echoke -altwerase iexten -nokerninfo
opost -olcuc onlcr -ocrnl -onocr -onlret -ofill -ofdel tabs -onoeot
DBS:/home/users/lkh{112} stty erase ^? : 백스페이스Key를 앞문자 삭제 Key로
DBS:/home/users/lkh{113}
♧ 메시지 수신 여부 지정(mesg) DBS:/home/users/lkh{115} mesg y : 메시지 수신 허가
DBS:/home/users/lkh{116} mesg n : 메시지 수신 불가
: 추가설명
- 메시지 수신을 No로 해두면 다른 사람이 메시지를 보내도 확인할 수 없다.
- 메시지 수신을 Yes로 해두면 작업중에 언제든지 다른 사람이 보내 메시지가 화면에
출력된다. (문서 편집 같은 작업을 할 때는 귀찮겠죠.)
♧ 다른 사용자에 메시지 보내기(write) ----- 보내는 사람 -----
DBS:/home/users/lkh{120} write khlee
Hello!
My Name Is LEE Kyung Ho
Bye
Ctrl-D(메시지 끝)
DBS:/home/users/lkh{121}
----- 받는 사람의 모니터 -----
ehwa1:/home/users/khlee{33}
Message from lkh on dbs.ehwadia.co.kr (ttypf) [Mon Mar 15 18:00:28 1999] ... -- ①
Hello!
My Name Is LEE Kyung Ho
Bye
<EOT>
ehwa1:/home/users/khlee{33}
DBS:/home/users/lkh{121} write khlee
write: Permission denied ------------------------------------- ②
khlee is not logged on. ------------------------------------- ③
DBS:/home/users/lkh{122}
: 추가 설명
- 보내는 사람이 한 라인 넘어갈때마다 받는 사람의 모니터에 출력된다.
- 보내는 사람이 'write khlee' 라고 명령을 주면 사용자 'khlee'의 화면에 ①번이 출력된다.
- ①번의 내용은 보내는 사람의 정보이다.
- 받는 사람이 Login 상태여야 하고, 메시지 수신 가능 상태여야 한다.
- 받는 사람이 메시지 수신 불가 상태면 ②와 같이 출력된다.
- 받는 사람이 Login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③과 같이 출력된다.
♧ 다른 사용자와 대화하기(talk) ------ 대화를 요청하는 사람 ------
DBS:/home/users/lkh{126} talk khlee
[Waiting for your party to respond] ------------- ①
[Your party is not logged on] ------------- ②
------ 대화를 요청 받은 사람 ------
ehwa1:/home/users/khlee{36}
Message from Talk_Daemon@dbs.ehwadia.co.kr at 18:14 ...
talk: connection requested by lkh@dbs.ehwadia.co.kr
talk: respond with: talk lkh@dbs.ehwadia.co.kr
ehwa1:/home/users/khlee{36} talk lkh
: 추가 설명
- 전체 화면이 둘로 나누어지며, 위에는 내가 입력하는 내용. 아래는 상대방이 입력하는
내용이 출력된다.
- ①번은 상대방이 대화를 응해오기를 기다리는 중이다.
- ②번은 상대방이 Login하고 있지 않다.
- 요청 받은 사람이 Talk에 응해야('talk lkh') 서로 대화가 이루어 진다.]
- 영문만 가능하며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따로 한글 Talk유틸리티를 설치해야 한다.
♧ 도움말 보기(man) DBS:/home/users/lkh{130} man passwd
Reformatting page. Please wait... completed
passwd(1) passwd(1)
NAME
passwd, chfn, chsh - Changes password file information
SYNOPSIS
passwd [-f | -s] [username]
chfn [username]
chsh [username]
This security-sensitive command uses the SIA (Security Integration Archi-
tecture) routine as an interface to the security mechanisms. See the
matrix.conf(4) reference page for more information.
: 명령어 사용법에 조그마한 의문점이라고 있으면 'man' 명령어로 확인해보는 습관을 들이자.
모든 옵션에 대한 설명 및 사용예제까지 보여준다.
♧ 간단한 도움말 보기(whatis) DBS:/home/users/lkh{132} whatis man
man (1) - Displays reference pages
man, man.page (5) - The man macro packages for reference pages
DBS:/home/users/lkh{133} whatis ls
ls (1) - Lists and generates statistics for files
DBS:/home/users/lkh{134}
♧ foreground/background 작업(fg, bg, &)
일반적으로 화면상에서 명령을 주고, 명령에 대한 결과를 얻고, 다시 명령을 주고 하는 식의
작업은 foreground 작업이다. foreground 작업은 결과를 얻고 다음 프롬프트가 떨어질때까지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반면 background 작업은 다음 프롬프트가 바로 떨어진다.
background 작업은 뒤에 '&'가 붙는다. (새로운 윈도우를 띄우거나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을
처리할 때 주로 background 작업으로 처리한다.)
forground 작업과 background 작업은 서로 전환 할 수 있다. DBS:/home/users/lkh{134} xterm &
[1] 7486
DBS:/home/users/lkh{135}
------ more와 man 작업중 Ctrl-Z로 일시 정지후 ------
DBS:/home/users/lkh{153} jobs
[1] - Stopped more .cshrc
[2] + Stopped man ls
DBS:/home/users/lkh{154} fg 1 : foreground 작업으로
DBS:/home/users/lkh{154} fg 1 2
DBS:/home/users/lkh{154} bg 1 : background 작업으로
DBS:/home/users/lkh{154} bg 1 2
♧ 활성 프로세서 강제 종료(kill) DBS:/home/users/lkh{163} ps
PID TTY S TIME CMD
9147 ttypf T 0:00.02 more .cshrc
9203 ttypf S 0:00.60 -csh (csh)
DBS:/home/users/lkh{164} kill -9 9147 또는 kill -KILL 9147
DBS:/home/users/lkh{165}
[1] Killed more .cshrc
DBS:/home/users/lkh{165} ps
PID TTY S TIME CMD
9203 ttypf S 0:00.61 -csh (csh)
DBS:/home/users/lkh{166}
: 불필요한 프로세스는 강제로 죽여줄 필요가 있다.
♧ Alias(별명) 만들기(alias) DBS:/home/users/lkh{170} alias h history
DBS:/home/users/lkh{171} alias rm 'rm -i' : 스페이스가 있으면 따옴표(')로 묶어주어야 한다.
: 위와같이 지정하면 두가지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매번 Alias를 지정할 필요가 있는 사항은 .cshrc나 .profile에 등록해 놓으면 된다.
♧ 필요한 파일 찾기(find, which) DBS:/home/users/lkh{74} find / -name passwd -print
find: cannot open < /etc/auth > : 접근 허가가 없슴
/etc/passwd : 찾았슴
find: cannot open < /usr/var/dt/authdir > : 접근 허가가 없슴
/usr/bin/passwd : 찾았슴
DBS:/home/users/lkh{75} which passwd
/usr/bin/passwd
DBS:/home/users/lkh{76}
: 'find' 명령은 지정한 디렉토리부터 이하 모든 디렉토리를 뒤지며 파일을 찾는다.
'which' 명령은 자신이 지정한 path 내에서 파일을 찾는다.
♧ 두 파일의 차이점 비교(cmp) DBS:/home/users/lkh{70} more aaa bbb
::::::::::::::
aaa
::::::::::::::
lkh
Lee Kyung Ho
Lee Kyung Ho
Lee Kyung Ho
Ehwadiamont
1234567890
::::::::::::::
bbb
::::::::::::::
lkh
Lee Kyung Ho
Lee Kyung Ho
Lee Kyung Hoo
Ehwadiamont
1234567890
DBS:/home/users/lkh{71} cmp aaa bbb
aaa bbb differ: char 43, line 4
DBS:/home/users/lkh{72}
♧ 두 파일의 차이점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 보기(comm) DBS:/home/users/lkh{69} comm aaa bbb
lkh
Lee Kyung Ho
Lee Kyung Ho
Lee Kyung Ho
Ehwadiamont
1234567890
Lee Kyung Hoo
Ehwadiamont
1234567890
DBS:/home/users/lkh{70}
♧ 두 디렉토리의 차이점 비교(dircmp) DBS:/home/users/lkh{86} dircmp test1 test2
Mar 16 13:26 1999 test1 only and test2 only Page 1 : test1과 test2 각각에만 존재하는 파일
./lkh ./aaa
Mar 16 13:26 1999 Comparison of test1 and test2 Page 1 : test1과 test2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파일
directory .
same ./abcd
DBS:/home/users/lkh{87}
♧ 현재 진행중인 작업보기(jobs) DBS:/home/users/lkh{90} jobs
[1] - Stopped man ps
[2] + Stopped more .cshrc
DBS:/home/users/lkh{91}
♧ local, remote 사용자에 대한 정보 보기(finger) DBS:/home/users/lkh{66} finger lkh
Login name: lkh In real life: Lee Kyung Ho
Directory: /home/users/lkh Shell: /bin/csh
On since Mar 16 08:14:15
on ttyp8 from 이경호
No Plan.
DBS:/home/users/lkh{67}
DBS:/home/users/lkh{72} finger khlee@dbs.ehwadia.co.kr
[dbs.ehwadia.co.kr]
Login name: khlee In real life: Lee Kyung Ho
Directory: /home/users/khlee Shell: /bin/csh
Last login Mon Mar 15 18:14 on ttyq5 from 이경호
No Plan.
DBS:/home/users/lkh{73} finger khlee@www.ehwadia.co.kr
[www.ehwadia.co.kr]
No information available : Remote에서 정보 보기를 허가하지 않았음.
DBS:/home/users/lkh{74}
♧ remote 시스템의 작동여부 확인(ping) DBS:/home/users/lkh{61} ping www.chosun.com
PING www1.chosun.com (203.235.118.2): 56 data bytes
64 bytes from 203.235.118.2: icmp_seq=0 ttl=245 time=23 ms
64 bytes from 203.235.118.2: icmp_seq=1 ttl=245 time=21 ms
64 bytes from 203.235.118.2: icmp_seq=2 ttl=245 time=20 ms
----www1.chosun.com PING Statistics----
3 packets transmitted, 3 packets received, 0% packet loss : packet loss의 수치가 높은면 그만큼
round-trip (ms) min/avg/max = 20/21/23 ms 라인상태가 좋지 못하다.
DBS:/home/users/lkh{62}
DBS:/home/users/lkh{63} ping www.chosun.go.kr
ping: unknown host www.chosun.go.kr : 호스트가 존재하지 않음
DBS:/home/users/lkh{64}
♧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 주소 및 ip에 대한 도메인 네임 찾기(nslookup) DBS:/home/users/lkh{59} nslookup www.chosun.com
Server: www.ehwadia.co.kr : 기준이 되는 Domain Name Server
Address: 130.1.1.10
Non-authoritative answer:
Name: www1.chosun.com
Address: 203.235.118.2
Aliases: www.chosun.com
DBS:/home/users/lkh{60} nslookup 203.235.118.2
Server: www.ehwadia.co.kr
Address: 130.1.1.10
Name: www.chosun.com
Address: 203.235.118.2
DBS:/home/users/lkh{61}
♧ 특정 remote 시스템까지 도달하는 Route 경로 보기(traceroute) DBS:/home/users/lkh{58} traceroute www.chosun.com
traceroute to www1.chosun.com (203.235.118.2), 30 hops max, 40 byte packets
1 130.1.1.15 (130.1.1.15) 1 ms 1 ms 2 ms
2 210.92.29.254 (210.92.29.254) 3 ms 3 ms 6 ms
3 168.126.134.141 (168.126.134.141) 15 ms 16 ms 15 ms
4 168.126.133.3 (168.126.133.3) 18 ms 15 ms 16 ms
5 168.126.63.205 (168.126.63.205) 17 ms 15 ms 16 ms
6 cent2-hh-12-0-155M.kornet.nm.kr (168.126.1.249) 17 ms 16 ms 16 ms
7 kornet-kix2-hh-atm-12.kornet.nm.kr (168.126.4.242) 18 ms 18 ms 18 ms
8 203.234.255.182 (203.234.255.182) 18 ms 21 ms 18 ms
9 inet-fddi-fm.nuri.net (203.255.114.236) 20 ms 20 ms 19 ms
10 www.chosun.com (203.235.118.2) 20 ms 83 ms 21 ms
DBS:/home/users/lkh{59}
♧ Redirection, Pipe(>, >>, <, |) DBS:/home/users/lkh{93} ls -al > aaa : 결과를 aaa 파일을 만들어 저장
DBS:/home/users/lkh{93} ps -ef >> aaa : 결과를 기존 내용에 추가
DBS:/home/users/lkh{93} mail khlee < aaa : aaa파일을 입력으로 가져옴
DBS:/home/users/lkh{93} ps -ef | grep lkh : ps의 결과에서 lkh가 있는 문장만 출력
DBS:/home/users/lkh{93} ps -ef | grep lkh > aaa
♧ 약속이나 일정 알려주기(calendar)
: 기본 설명
- calendar 명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home directory에 calendar라는 일정이
등록된 파일이 존재해야 한다.
- .cshrc나 .profile의 마지막 부분에 calendar라는 명령어를 넣어두면 자신이 Login 할 때
당일의 일정을 화면에 Display 해 준다.
DBS:/home/users/lkh{93} calendar
/usr/bin/calendar: /home/users/lkh/calendar not found : 정의된 Calendar가 존재한 않는다.
DBS:/home/users/lkh{94}
DBS:/home/users/lkh{100} more calendar
*/25 - Prepare monthly report
Martha out of town - 8/23, 8/24, 8/25
8/24 - Mail car payment
sat aug/25 - beach trip
August 27 - Meet with Simmons
3/16 - 카렌다 테스트중
DBS:/home/users/lkh{101} calendar : 현재 일자가 3월 16일인 경우
3/16 - 카렌다 테스트중
DBS:/home/users/lkh{102}
'OS >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정보 확인하기 (0) | 2016.05.04 |
---|---|
HP-UX DNS 구성 방법 (0) | 2016.05.04 |